연안차씨문절공 지제종친회
후손들은 조상님의 음덕에 자긍심을 갖고 오늘을 영유하고 있습니다.
지제 문중 소개
- 종친회 소개
- 지제 문중 소개
연안차씨 집성촌 소개
1. 경기도 평택시 지제(芝制)문중 소개
지제종중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전에는 고려시대 영신현(永新縣) 조선초기는 수원부 오타면 조선후기에는 성남면 지제리와 울성리로 구분 그후 1914년 지제리(동)이 되고 구대 우무말 새터말 당현 으로 나누고 당현마을을 당재말로 부르기도 한다 당현마을은 1931년10월8일 초대회장 차동현공을 모시고 종원 31명이 문절공 지제종중회를 결성하여 기녕당현 리장님 소녕교장선생님 4대에 차범열회장이 중심으로 현재 20가구 100명의 집성촌을 이룬 마을이다 고덕면 방축리 선산 약3만평에는 26세인 숙창 묘지가 있고 27세 한국묘지 28세 호인묘지 29세 장남인득여묘지 차남은 29세 가정대부 행중추부사인 휘 득연(得連)공은 경기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작은집을 중심으로 집성촌을 이루고 그 외 자손들은 전국 각지로 나가서 후손들이 살고 있다
지제동 당현마을 형성은 약 430년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용인 평택간 고속도로에서 지제교차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고 현재 신축중인 삼성평택공장
남쪽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최근에 고속지제역사가 건설되어 수서 평택간 SRT고속열차가 수서역에서 지제역까지 20분에 도착 할수 있다
2. 낙향조 소개

평택시 고덕면 봉미산 자락 남향언덕의 우뚝솟은 선산에는 낙향조 연안군 조선대부행사직 26세 휘 숙창묘지와 진사 엄윤화의 딸로 배필이된 정부인 영월엄씨를 모신 쌍분이고 한단계 아래는 차한국의 큰아들이고 통훈대부로서 행훈련원주부를 지낸 차호인묘와 생원 엄수영딸로 배필이된 숙부인 영월엄씨 및 둘째부인인 숙부인 김포정씨의 3분(三墳)이다
3. 선조들이 세운 비문을 해석 하여 본다.
